Python_자료구조(dictionary,set)
KDT 과정을 수강하며 그날 배운 내용의 확인과 복습을 위해 꾸준히 글을 써보려고 한다.
사전적인 지식보단 알기 쉽게 풀어놓은 내용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DAY 4 2023.03.08
1.딕셔너리
딕셔너리란?
하나의 자료형태로써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자료형이다. key와 value 구성되있다.
하나의 딕셔너리의 key는 중복될 수 없다.
하나의 딕셔너리의 values는 중볼될 수 있다.
데이터의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형태는
변수 = {키1:값1,키2:값2.....}의 형태를 띄고 있다
key 를통해 value를 찾을 수있다.
2.세트(set)
수학의 집합과 비슷한 형태로 순서가 없어서 어떤 값이 먼저 나올지 알 수 없고, 중복되는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는다.
딕셔너리처럼 중괄호를 사용해서 선언하지마, key는 존재하지 않고 value만 존재한다.
중복을 제거할 수 있기에 데이터 분석에 용이하다.
예시
●세트와 zip() 함수
zip 함수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zip 함수와 list,dict 형태를 띄는 것도 함께 예시를 보자.
3.사용자 정의함수
●함수
함수란?
단편적으로 변수 x,y 에 대해 x값이 정해지면 그에따라 y값을 결정하는것
함수를 만드는 이유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가치있는 부분을 묶어서 하나의 집합으로 만드는것이다.
쉽게 말해서 반복작업을 하지 않고 자동으로 행해지게 묶어놓은 것이다. 이는 코드를 재활용하고 가독성을 높이기도 한다.
사용자가 직접 함수를 정의하여 무궁무진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름만 있는 함수
변수가 없는 함수로써 정의후 호출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매개변수가 있는 함수
변수를 도입하여 입력한 변수에 대한 행동을 설계할 수 있다.
기존 내장 함수와도 연계하여 설계할 수 있기 떄문에 활용도가 무궁무진하다.
오늘 배운 KDT 의 내용을 정리하여 보았다. 앞으로 꾸준히 블로깅을 하고자 한다.